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딩문제풀이
- 월간코드챌린지시즌1
- @action
- restapi
- SpringBoot
- 도서관대출
- 코딩문제
- goormIDE
- mobx
- java
- MES
- @observable
- 1일1커밋
- HashMap
- 수포자
- Decorator
- 동네도서관이용후기
- 로봇 관련 윤리문제
- 프로그래머스
- groomide
- 해쉬맵
- 특정값 개수
- 무료로책보기
- level1
- 강서구도서관
- 경력기술
- LinkedList
- 사이드프로젝트
- 오류잡기
- 전자도서관
- Today
- Total
Maenya's Techlog
NoSql - 몽고DB 사용일지 본문
MongoDB는 NoSQL의 종류 중 하나이다. NoSQL은 빅데이터 기반의 데이터베이스로, 정해진 칼럼이 아니라 컬렉션에 document가 계속 추가되는 방식이다.
[ MySQL과의 비교 ]
mysql은 database를 새로 만들어주고 table을 생성할 때 칼럼명과 타입을 지정해 주며 생성.
MongoDB는 database를 새로 만들어주고, collection을 생성, collection에 들어갈 document를 입력 (document는 json 타입)
[ MongoDB 기본 명령어 ]
db사용 시, 항상 use명령어로 db를 지정해 준 후 사용한다.
db생성 : use TestDatabase
db확인 : show databases, show dbs
db삭제 : db.dropDatabase()
[ MongoDB 설치 및 실행 ]
brew update
brew install mongodb
mkdir -p /data/db
mongod
# dbpath 지정
mongod --path <path>
터미널
$ mongo
MongoDB shell version: 3.2.1
connecting to: test
>
[ db에 collection 생성 방법 ]
db.createCollection("testCollection")
db.createCollection("testCollection"{capped: true, autoIndexId: true, size: 6142800, max: 10000})
// capped : 사이즈를 고정시켜, 초과되면 오래된 데이터부터 삭제, autoindexId : id자동증가, size : 사이즈, max : 컬렉션에 들어갈 최대 개수
db.testCollection.insert({"name":"mang"}) // 해당 collection도 새로 생기면서 새 document 추가
'서버 > RDB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쿼리 성능개선하기! 인덱스란? 인덱스 힌트 사용법? 실무에 적용하기 (0) | 2020.12.18 |
---|---|
AWS (Amazon Web Services) (0) | 2020.07.13 |
MySql 실습 (0) | 2020.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