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경력기술
- 수포자
- goormIDE
- 로봇 관련 윤리문제
- 해쉬맵
- restapi
- 월간코드챌린지시즌1
- 강서구도서관
- @action
- 전자도서관
- 특정값 개수
- 도서관대출
- @observable
- groomide
- 코딩문제풀이
- LinkedList
- java
- 사이드프로젝트
- MES
- Decorator
- 무료로책보기
- 오류잡기
- 코딩문제
- mobx
- 프로그래머스
- 1일1커밋
- 동네도서관이용후기
- SpringBoot
- HashMap
- level1
- Today
- Total
Maenya's Techlog
[사내교육] AWS 클라우드 교육 3일차 본문
1. 고가용성과 장애내구성에 대해 맞게 설명한 것을 모두 선택하세요.
정답
1) 고가용성은 장애 상황을 해결하고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이다. (O)
(장애 상황의 준비가 되어있는 아키텍쳐.)
3) 장애내구성: 장애 상황에도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이다. (O)
(장애상황을 해결하진 못했지만 장애상황에 영향을 받진 않음.)
ex. 엔진하나가 고장나더라도 계속 비행가능 -> 고가용성(O) 장애내구성(O)
오답
2) 고가용성을 확보한 아키텍쳐는 장애 발생시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는다 X
- 고가용성을 확보했더라도 중단시키는 아키택쳐가 있을 수 있음. 그냥 능력/성질일 뿐...
4) 고가용성을 확보하면 장애 내구성 역시 확보할 수 있다 X
- ex.여분의 타이어 : 고가용성(O) 장애내구성(X)
2. 다음중 클라우드 아키텍쳐에서 결합(coupling)에 대해 올바르게 설명한 것을 고르시오.
정답 3) 느슨한 결합을 활용한 아키텍쳐의 경우 유연하게 구성요소 및 서비스를 교체할 수 있다.(O)
오답
1) 클라우드 아키텍쳐에서는 항상 긴밀한 결합을 지향해야한다 X
2) 느슨한 결합이란 서로 높은 의존성을 가지고 있는 결합 방법이다 X
4) 느슨하게 결합된 서비스간에는 각 구성요소별 서비스에대한 정보가 충분해야 연동이 가능하다 X
3. AWS의 IAM의 구성 요소 중 EC2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은?
[IAM의 구성요소]
1) IAM 계정
2) IAM 그룹
3) IAM 정책
4) IAM 역할 >> EC2에 연결 가능
4. EC2의 요금모델이 아닌 것은?
1) EC2 On-Demend : 쓴 만큼.
2) EC2 예약 인스턴스 : 약정(75%저렴)
3) EC2 Spot Instance : 경매형식.
+) 전용 호스트 : 물리서버 임대.
오답 4) EC2 Cost Optimized
7. Elastic Load Balancer에 대한 올바른 설명을 모두 선택하세요.
정답
1) Application Load Balancer(ALB)는 OSI Layer7에 위치한다. (O)
4) Application Load Balancer(ALB)는 AWS Lambda를 대상으로 로드밸런싱할 수 있다. (O)
오답
2) Application Load Balancer(ALB)는 Elastic IP로 고정IP를 가질 수 있다. (X)
Network Load Balancer(NLB)는 Elastic IP로 고정IP를 가질 수 있다.
3) Network Load Balancer(NLB)는 HTTP프로토콜을 지원한다. (X)
8. 다음중 EC2 Autoscaling 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수평적 확장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O)
(수평확장: 요구한 성능만큼 비례하여 비용지불. 수직확장: 성능보다 비용이 훨씬 많이듬.)
3) 여러 가용영역에 인스턴스를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O)
(다양한 스케일링 정책 적용 가능. 하나의 가용영역에 몰리지 않도록. 자동으로 분산되게.)
4) EC2 인스턴스 비용 이외에 별도 사용 비용이 발생한다. (O)
오답
2) EC2인스턴스의 최소숫자만 유지시키고 최대 숫자는 지정할 수 없다.(X)
EC2 Autoscaling은 EC2 인스턴스의 min, max값을 모두 지정할 수 있다. (O)
9. EC2 Autoscaling의 시작 구성
1) EC2의 유형 (타입 ex.t,m)
2) EC2의 크기 (개수조정 가능)
3) AMI
4) 보안 그룹, key, IAM
4) 유저 데이터 (사용자가 무슨 액션을 취할지 정의)
오답) 시작 인스턴스 숫자
10. 보안그룹에 대해 올바르게 설명한 보기를 모두 선택하세요.
정답
2) 하나의 EC2 인스턴스는 여러 보안 그룹과 연동할 수 있다. (O)
3) 보안그룹은 stateful한 방화벽 서비스이다. (O)
오답
1) 외부 트래픽에 대해 Deny가 가능하다 X
4) 허용하고싶은 프로토콜, port, source를 선택하여 트래픽을 받을 수 있다 X
11. EC2에 AWS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
정답 3) IAM 역할을 생성하여 권한을 부여하고 EC2에 역할을 연결한다.
오답
1) IAM 사용자를 생성하여 필요한 권한을 부여하고 Access key Pair를 configure한다.(X)
2) IAM사용자를 생성하고 IAM그룹을 생성하여 권한부여하고 Access Key Pair를 configure한다.(X)
4) IAM그룹에 권한을 부여하고 EC2를 그룹에 넣는다.(X)
12.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RDS)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답) RDS를 접근하기 위해서 IAM을 사용할 수 있다.
오답)
RDS는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OS업데이트를 해줘야 한다. (X)
RDS에서 DB2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사용할 수 있다. (X)
14. 192.168.1.0/24 CIDR 블록을 가진 서브넷은 총 몇 개의 IP주소를 사용할 수 있을까?
정답 4) 251개
설명 >>
15. CloudWatch 지표(Metric)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 아닌 것은?
1) 지표는 사용자가 직접 정의할 수 있다. (O)
3) 지표를 사용하여 CloudWatch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O)
4) EC2 및 RDS를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지표가 미리 생성되어 있다.(O)
오답 2) 항상 1단위로 증감된다. (X)
16. Amazon Simple Queue Service(SQS)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정답 3) SQS를 통해 전달받은 메시지를 처리하기위한 제한시간이 있다. (O)
오답)
1) SQS의 순서는 항상 보장된다 X
2) SQS의 메시지는 다양한 서비스에서 여러번 처리할 수 있다 X
4) SQS에 저장된 메시지는 제한기간 없이 저장할 수 있다 X
17. Amazon Simple Notification Service (SNS)를 활용한 Fan-out 아키텍쳐에 관해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정답 1) 하나의 Jop/Task를 다양한 서비스와 주체에서 처리할 수 있다. (O)
오답
2) 반드시 AWS의 서비스들로만 Fan-out아키텍쳐를 구성할 수 있다 X
3) SNS로 전달된 메시지의 처리에 실패할 경우 다시 처리할 수 있다 X
4) 여러 Job/Task를 여러 서비스에서 처리하는 N-N 구조이다 X
18. AWS Lambda에 관해 올바른 설명이 아닌 것은?
1) Lambda는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Serverless 서비스이다. O
2) AWS의 다양한 서비스에서 Lambda를 연동할 수 있다. O
4) Lambda가 코드를 실행하는 최대 제한 시간은 15분이다. O
답 3) Lambda는 Lambda의 코드와 동일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만 호출이 가능하다 X
19. AWS의 Well-Architectured Framework의 원칙이 아닌 것은?
Well-Architectured Framework의 원칙
: 운영 우수성, 보안, 안정성, 성능 효율성, 비용 최적화 (O)
답 4) 느슨한 결합 (X)
(just 지향하는 결합방식일 뿐)
20. Amazon VPC에서 특정 IP주소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정답 4) NACL을 사용해 해당 IP주소를 차단한다. (O)
오답
1) 보안그룹에서 해당 주소를 차단한다. X
2) VPC서브넷의 라우팅 테이블에서 해당 IP주소를 차단한다. X
3) Application Load Balancer를 활용해 IP주소를 차단한다. X
'개발자의 삶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내교육] AWS 클라우드 교육 2일차 (0) | 2022.07.07 |
---|---|
[20220404] AWS 기반 아키텍쳐 설계 교육 수강 1일차 필기 (0) | 2022.04.06 |